본문 바로가기
자투리 정보/핫(Hot) 키워드

[K pass / K-pass / K-패스]알뜰교통카드 업그레이드 버전, 신청방법, 시행 일시, 기후동행카드 차이점

by Mr.noobiest 2024. 3. 9.

지하철, 버스 많이 사용하면 K-패스 무조건 신청하기

K-패스란?

2024년 5월 1일부터 시행되는 교통카드로, 기후동행카드와 비슷하지만 대중교통에 특화된 카드 입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는 4월부로 사업이 종료되며 이후 K-패스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기후동행카드랑 다른점은?

기후동행카드랑 다른점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구분 K-패스 기후동행카드
적용 지역 전국(17개 시도) 서울 시내
이용 조건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적용 월 무제한 이용 가능
혜택 이용금액의 20~53% 다음달 환급 (최대 60회) 월 6만5000원으로 서울 시내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대상 교통수단 시내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GTX 등 서울 시내버스, 마을버스, 지하철(신분당선 제외), 따릉이
추가 혜택 지방자치단체별 추가 혜택이 있을 수 있음 -
특이점 환급제로 이용한 대중교통비의 일부를 돌려받음 정액제로 월 정해진 금액 안에서 무제한 이용 가능

 

K-패스는 대중교통 특화인 할인형이고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에서 버스나 대중교통을 6만원(따릉이도 쓸 경우 6만 5천원)이상 사용하는 경우 쓰기 좋은 카드 입니다.

다만 다른 지역에서 출퇴근을 대중교통으로 할 경우 K-패스를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K-패스 상세 정보


K-패스에 대한 상세 정보와 신청 방법, 혜택 등을 아래 표로 정리해보았습니다. K-패스는 기존의 알뜰교통카드를 대체하는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 사업으로, 여러 혜택과 편의를 제공합니다. 😊

구분 내용
시행 일자 2024년 5월 1일부터
대상 전국 대중교통 이용자
혜택 대중교통비의 20~53% 환급 (이용 계층 및 횟수에 따라 다름)
이용 조건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적용 / 최대 60회 까지 할인
적용 대상 시내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광역버스, GTX 포함)
환급 방식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을 다음 달에 환급
신청 방법 5월 1일부터 K-패스 누리집 또는 각 카드사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만일 본인이 현재 "알뜰 교통 카드"를 사용중이라면 알뜰 교통카드 어플에서 예약 신청이 가능하며, 신청 후 5월 1일부터 자동으로 등록됩니다.

 


 

요약

 

1) 본인이 서울에서 교통비에 6만원 이상을 쓴다 - 기후동행카드

2) 본인이 다른 지역에서 출퇴근 한다 - K-패스

3) 본인이 40회 이상 서울에서 대중교통을 탄다.(변동될 수 있습니다 / 1500원 * 40회==6만원) - 기후동행카드

4) 본인이 40회 미만 서울에서 대중교통을 탄다.(변동될 수 있습니다) = K-패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