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투리 정보

[이스라엘/레바논/이란] 도대체 얘들을 왜 맨날 싸울까??? -2 제1차 중동 전쟁 발발

by Mr.noobiest 2024. 10. 3.

 

중동이 혼란한 이유 보러가기 >>>

 

 

[이스라엘/레바논/이란] 도대체 얘들을 왜 맨날 싸울까??? -1 시오니즘과 혐성국의 이중계약

레바논 삐삐, 무전기 폭파사건은 왜 일어난걸까???최근 발생한 레바논 전자기기 폭파사건의 배후로 이스라엘이 거론되고 있는 상황에서 도대체 이스라엘과 이란,팔레스타인,레바논은 어째서 전

mrnoobiest.tistory.com

 

 


 

 

이스라엘 건국과 제1차 중동전쟁


1948년 5월 14일 이스라엘이 건국되었고 매우 당연하게도 원래 살던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난민이 되어버렸다.

중동의 혼란의 시발점인 이스라엘 건국

 

중동은 이러한 이스라엘 건국을 용납할 수 없었고, 건국일인 5월 14일의 바로 다음날인 1948년 5월 15일 전쟁을 선포하였다.

 

IDF 장갑차

 


 

 

제1차 중동 전쟁

 

 

2차 세계대전 직후라 미국과 소련이 싸우지 않았을때다.

 

건국된지 얼마안된 이스라엘은 모든 장병에게 총을 전부 줄 수도 없을 정도로 열악한 환경에서 약간의 기갑전력과 공군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반대로 아랍 연합은 프랑스제 기갑 전력과 영국제 공군을 보유 하고 있었고 소련 전차까지 가지고 있었다.

 


 

아랍 연합의 전력과 이스라엘의 전력(106,000명)

 

1. 이집트

  • 병력: 약 40,000명
  • 장비: 소련제 전차(T-34), 영국제 전투기, 포병 등.
  • 특징: 이집트는 전투에서 가장 큰 규모의 병력을 동원했으며, 주요 전투 지역인 네게브 사막에서 공격을 감행.

2. 요르단

  • 병력: 약 6,000명 (군대는 '하셰미 군대'로 알려짐)
  • 장비: 영국제 전투기와 장갑차, 포병 지원.
  • 특징: 요르단군은 예루살렘과 요르단강 서안 지역에서 주요 전투에 참여. 전투 후 요르단은 서안 지구를 점령.

3. 시리아

  • 병력: 약 15,000명
  • 장비: 소련제 전차, 포병, 항공기.
  • 특징: 시리아군은 북부 전선에서 이스라엘을 공격하고, 골란 고원 지역에서 전투를 벌임.

4. 레바논

  • 병력: 약 5,000명
  • 장비: 제한된 전투력과 장비.
  • 특징: 레바논군은 전투에 참여했지만, 군사적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미미함.

5. 이라크

  • 병력: 약 10,000명
  • 장비: 영국제 전투기, 포병, 경장갑차.
  • 특징: 이라크군은 주로 북부 전선에서 활동하며, 이스라엘 공격에 참여.

 

6. 이스라엘(100,000명)

  • 병력: 약 100,000명
  • 장비: 영국제 '크루세이더' 전차, 소련제 'T-34' 전차, 영국제 및 미국제 전투기와 수송기 다양한 구경의 포와 박격포를 보유
  • 특징: 이스라엘 방위군(IDF)은 다양한 유대인 이민자와 자원봉사자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전쟁 초기에 군사 훈련을 받지 않은 병사들도 많았음.

 

 


 

전쟁의 결과


병력수는 비슷하나 기갑전력과 항공전력이 압도적으로 부족했던 이스라엘의 패배는 당연시 되었으나, 놀랍게도 이스라엘은 이러한 아랍 연합에게서 승리하고 전쟁 전의 영토를 오히려 더 넓히게 되었다.

 

IDF 8기갑여단 전차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스웨덴의 중재로 잠시 휴전한 상태에서 미국과 유럽에서 무기를 구매해 부족한 전력을 보충하였고, IDF가 버티는 사이에 후방의 훈련병들이 훈련을 마치고 전선에 배치됨으로서 부족한 전투력을 보강했기 때문이다.

 

 

 


 

 

아랍 연합의 패배의 원인

 

1. 단결 부족

아랍 연합은 이스라엘이 싫어서 모인거지 다른 아랍 국가가 좋아서 모인건 아니라 통합된 지휘체계가 아닌 각자의 지휘체계를 운영하였고, 이로 인해 전투 목표와 작전 계획이 명확하지 않게 되면서 효과적인 전투를 수행하지 못했다.

 

2.전투 초반의 과도한 자신감

아랍 국가들은 이스라엘에 대한 군사적 우위를 과신했고, 전투 초반 이스라엘의 조직적인 방어와 반격에 직면해 예상보다 큰 피해를 입게 되었다, 또한 이스라엘의 군사 작전과 전력에 대해 정보가 부족한 것도 패배의 원인이 되었다.

 

3. 이스라엘의 군사적 우위

이스라엘군은 기동성 위주의 전투와 전술적 유연성을 발휘함은 물론 병사 개개인의 독립에 대한 강한 의지로 사기와 단결력이 높았습니다.

이와 반대로 아랍 연합은 국가 내부의 쿠데타 위기와 귀족 출신 장교와 일반병의 싸움은 물론 병사들의 전쟁 의지가 낮아 오합지졸에 불과했다.

 


 

결과

 

1948년 5월 15일에 시작된 1차 중동전쟁은 1949년 3월 10일 이집트와 이스라엘의 휴전 협정 체결로 종료 었으며, 아래와 같은 결과를 낳게되었다.

 

이스라엘 영토 변화

 

영토 확장

14,000 제곱킬로미터 -> 약 20,000 제곱킬로미터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


약 70만 명의 팔레스타인인이 고향을 잃고 난민이 됨. 이들은 이스라엘의 공격이나 전투로 인해 자리를 떠나야 했으며, 이 사건은 '나크바(재앙)'로 알려짐.

 

아랍 국가들의 정치적 혼란 및 국제적 고립

아랍 연합군은 전투에서 패배하며, 이스라엘에 대한 군사적 공격에 실패. 이로 인해 아랍 국가들은 내부 정치적 혼란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스라엘에 대한 군사적 대응에서 실패함으로써 국제적 지지를 얻는 데 어려움을 겪음.

 

영토 분할

전투 종료 후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 간에 휴전선이 설정됨. 이스라엘은 요르단강 서안을 요르단에, 가자 지구를 이집트에 맡김. 전후 이스라엘의 영토 확장은 팔레스타인 지역의 분할 문제를 심화시켰고, 이후의 중동 분쟁의 기초가 됨.

 

장기적 갈등의 기초

전쟁의 결과는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 간의 적대 관계를 더욱 강화시켰으며, 이후 여러 차례의 전투와 갈등(예: 제2차 중동전쟁, 욤 키푸르 전쟁 등)의 기초를 마련함. 이후 1964년에 결성될 PLO(팔레스타인 해방 기구)와 같은 팔레스타인 민족주의 운동이 본격화됨.

 

나크바와 PLO

 


 

요약

1. 이스라엘과 아랍 연합의 전쟁(1차 중동전쟁)

2. 이스라엘이 이기면서 이스라엘의 건국 확정, 영토 확장,

3. 팔레스타인 난민 대량 발생(나크바) 팔레스타인 민족주의 대두

 

 

끝.

728x90
반응형